IT융합이 인류의 새로운 미래를 연다
김 려 성(소프트 꼬레아 저자)
다른 기술 분야의 고도화를 지원하는 IT융합
기존 다른 기술 분야의 고도화를 지원하는 IT융합은 ①석유, 석탄 등의 화석 연료를 대체하는 신재생 에너지, 바이오 가스분석사업, 해양 바이오 에너지, 바이오 에너지산업 ②예금, 대출, 증권, 보험, 신용보증, 신용평가 등 신규 IT융합 금융산업 ③자동차, 선박, 항공기, 호텔, 관광회사 등 운송여행알선산업 ④출판, 인쇄, 만화, 전통문화, 도서관, 박물관 등 콘텐츠 산업 ⑤방송, 통신, 미디어, 스마트 폰, 스마트 TV, 소셜네트워크(SNS), 미디어산업 ⑥기존 1차 2차 3차 산업(예로써 건설, 의류, 제철, 기계 등)과의 IT융합 ⑦법률, 공안, 통제, 경비, 보안, CCTV, 각종 범죄인식센서, 개인정보보호, 방범센서 및 보안경비산업 ⑧국방, 외교통상 정보, 군사력 증강, 사이버 전쟁, IT융합방위산업 등이 있다.
IT 융합의 전략과 방향
IT 융합을 성공적으로 실행하기 위해서는 먼저 지원되어야 할 다른 원천기술이 전제되어야 하며, IT 융합을 가로 막는 법과 제도를 사전에 정비하고, IT 융합 교육 방향과 교육대상을 바꿔야 한다. 첨단 기술이 글로벌 경쟁에서 생존하기 위해서는 원천기술의 확보만큼 중요한 것이 기술사업화 이후의 차별적이고 정교한 비즈니스 모델을 수립하고 이를 바탕으로 시장에서 조기에 성공하는 것이다. 비즈니스 모델 개발은 단지 마케팅 전략만을 의미하지 않으며 제품 사용자의 요구(Needs)를 도출하고 시장 수요를 창출하여 글로벌 제휴를 통해 업계 표준으로 공식화하거나 시장침투나 틈새시장 개발을 통해 사실상의 표준으로 자리 잡는 노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IT 융합을 통해 기술개발과 비즈니스 모델을 동시에 개발하고 상호 시너지를 창출하도록 전략적으로 접근해야 한다.
IT 융합을 가로 막는 법과 제도 정비
새로운 분야에서 신규로 창출하려는 사업은 기존의 가치와 관행에 따라 정해 진 법률과 제도로 인해 장애를 받을 수 있다. IT 융합 산업은 국제적으로도 현재 초기 발전단계에 위치하고 있어서 우리나라는 다른 나라에 비해 역량이 다소 미흡하긴 하지만 진입 시기가 아주 늦은 것은 아니다. 따라서 우리정부는 IT 융합을 저해하거나 장벽이 되는 법과 제도를 시급히 정비하여 IT융합 육성정책을 수립하여 신규산업의 진입을 촉진하는 게 좋겠다. IT융합의 목표를 인간 삶의 질 향상을 위한 IT융합, 창의적 미래 시장 수요에 앞서 가는 IT융합, 다른 기술 분야의 고도화를 지원하는 IT융합으로 설정하고 이러한 목표 달성에 장벽이 되는 법과 제도의 시급한 보완이 요망된다.
IT융합 교육방향과 교육대상을 바꿔야
1980년대 마이카시대 이전에는 자동차 운전은 직업적 운전기사의 전유물이었다. 정부는 마이카시대를 열기 위해 다른 직업에 종사하는 사람도 운전면허증을 소유하도록 권장하는 정책을 실시한 바 있다. 지금은 자동차를 운전하더라도 운전자 모두를 사업용 운전자라고 보지는 않는다. 이러한 예는 법대생만의 법조인이 아니라 타 분야 전문가에게도 법을 가르치려는 로우스쿨(law school)의 필요성이나 신문방송학과 출신만이 언론인이 되기보다는 다른 분야의 전문가에게 홍보교육을 실시하여 전문분야의 칼럼을 쓰도록 하는 것과 같은 이치다.
IT 전문인력이 바로 IT 융합의 인적자원이긴 하지만 오히려 타 기술분야의 전문가에게 사용자 요구사항분석과 이벤트 모델링 설계 등 시스템 개발 과정을 교육할 필요가 있다. 이는 신규 IT융합 개발과정에서 개발자간의 의사소통을 원활히 하여 보다 IT융합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는 IT 분야에서 고급 인력을 확보하고 있지만 IT융합의 대상이 되는 타 기술 분야의 인적자원의 IT 학습정도가 미흡하다. 이에 IT융합분야의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해 기초 학문과 다양한 응용학문이 참여하는 IT융합 전문교육기관을 설립하여, IT전문인력이 아닌 다른 기술분야의 전문가에게 시스템 개발 과정의 앞부분인 요구사항분석과 이벤트 모델링 설계 그리고 시스템 테스트 검증을 집중적으로 교육하여 IT융합에 필요한 고급 인력을 조기에 지속적으로 배출하는 것이 매우 시급한 과제이다. <끝>
참 고 문 헌 이각범 대통령소속 국가정보화전략위원회 위원장 "‘Digital Europe의 과제와 시사점" 2011. 5. 9. 한국IT전문가협회(IPAK) 5월 조찬세미나 장광수 행정안전부 정보화 전략실장 “IT 강국을 넘어 스마트 강국으로 국가정보화 전략과 과제” 2011. 4. 13. 한국IT전문가협회(IPAK) 4월 조찬세미나 석호익 KT 부회장 “우리나라 정보통신(IT)의 현황과 메가트렌드” 2011. 3. 9, 한국IT전문가협회(IPAK) 3월 조찬세미나 방형빈 KT 상무 “모바일의 미래 Web인가? App인가?” 2010. 11. 10, 한국IT전문가협회(IPAK) 11월 조찬세미나 형태근 방송통신위원회 상임위원 “인터넷 경제와 녹색성장” 2010. 7. 14. 한국IT전문가협회(IPAK) 7월 조찬세미나 곽덕훈 EBS 사장 “컨버전스 시대의 교육 패러다임과 대응전략‘ 2010. 5. 12. 한국IT전문가협회(IPAK) 5월 조찬세미나 강중협 행정안전부 정보화 전략실장 “개인정보 보호 무엇이 문제인가” 2010. 4. 14. 한국IT전문가협회(IPAK) 4월 조찬세미나 오해석, 대통령실 IT특별보좌관 “이명박 정부의 IT 주요 정책 방향” 2010. 3. 10. 한국IT전문가협회(IPAK) 3월 조찬세미나 조석, 지식경제부 성장동력실장 “소프트웨어 강국 도약 전략” 2010. 2. 24. 한국IT전문가협회(IPAK) 2월 조찬세미나 이상진, 지식경제부 SW진흥과장 “SW 품질향상을 위한 정책 현황” 2009. 11. 11. 한국IT전문가협회(IPAK) 11월 조찬세미나 김문구, 박종현, 조영환, IT 융합의 국내외 동향 및 국내 산업역량 강화방향, 전자통신동향분석 제25권 제1호 2010년 2월,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지식경제부‘2020년 세계 3대 IT 수출 강국 도약’창의 미래 국제포럼 지식경제부‘2010 지식서비스 백서’2010. 1.31, 정보통신산업진흥원 정보과학회지 2011.4 제29권 제4호 통권263호 의료-IT 융합 기술 참조 정보과학회지 2011.1 제29권 제1호 통권260호 u-Health 참조 정보과학회지 2010.7 제28권 제7호 통권254호 IT 융복합 기술서비스 참조 |
'저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업계획서에 기재할 필수사항은? _ 김려성(소프트 꼬레아 저자) (0) | 2012.04.19 |
---|---|
IT융합이 인류의 새로운 미래을 연다(3) _ 김려성(소프트 꼬레아 저자) (0) | 2012.04.18 |
IT융합이 인류의 새로운 미래를 연다(5) _ 김 려 성(소프트 꼬레아 저자) (0) | 2012.04.18 |
IT융합이 인류의 새로운 미래를 연다(4) _ 김 려 성(소프트 꼬레아 저자) (0) | 2012.04.18 |
IT융합이 인류의 새로운 미래를 연다(2) _ 김 려 성(소프트 꼬레아 저자) (0) | 2012.04.18 |